본 포스팅은 5G 코어 네트워크(5GC) 내 주요 기능 요소 간 통신을 정의하는 3GPP N 인터페이스의 핵심 원리, 종류 (N1부터 N20까지), 기술적 세부 사항, 적용 사례 및 향후 발전 전망을 엔지니어 관점에서 정리하였습니다. 

5G 코어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N 인터페이스의 중요성

5G 코어 네트워크(5GC)는 5G 서비스의 핵심 기능을 수행하는 지능형 네트워크입니다. 5GC 내에는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User Plane Function (UPF), Policy Control Function (PCF 1 ) 등 다양한 Network Function (NF)들이 존재하며, 이들 간의 효율적이고 유기적인 통신은 5G 서비스의 안정적인 제공 및 advanced 기능 구현에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NF들 간의 상호 작용을 규정하는 것이 바로 3GPP에서 정의하는 N 인터페이스입니다. N 인터페이스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5G 네트워크 엔지니어에게 매우 중요한 역량입니다.  

 

3GPP N 인터페이스의 기본 원리 및 특징

 

3GPP N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기반 아키텍처 (Service-Based Architecture, SBA)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각 NF들이 제공하는 기능을 서비스 형태로 정의하고, 표준화된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상호 통신하는 방식입니다.

서비스 기반 아키텍처 (SBA)

  • Modular Design: 각 NF는 독립적인 기능 모듈로 설계되어 유연한 확장 및 업데이트가 용이합니다.
  • Service Discovery: Network Repository Function (NRF)를 통해 각 NF는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등록하고, 다른 NF는 필요한 서비스를 검색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Stateless Design: 대부분의 NF는 stateless하게 설계되어 scalability와 resilience를 향상시킵니다. 세션 관련 정보는 별도의 NF에서 관리합니다.
  • Standardized API: 각 NF 간 통신은 3GPP에서 표준화한 RESTful API 기반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는 벤더 간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고, 새로운 NF의 추가 및 통합을 용이하게 합니다.

N 인터페이스의 주요 특징

  • NF-NF 인터페이스: N 인터페이스는 5GC 내의 서로 다른 NF들 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 표준화: 3GPP TS 23.502 및 관련 기술 규격에 상세히 정의되어 있습니다.
  • HTTP/2 및 JSON 기반: 대부분의 N 인터페이스는 HTTP/2 프로토콜과 JSON 데이터 포맷을 사용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및 파싱을 지원합니다.
  • 보안: TLS (Transport Layer Security)를 사용하여 NF 간 통신의 보안을 강화합니다.

주요 3GPP N 인터페이스 상세 분석 (N1 - N20)

5GC 내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NF들이 존재하며, 이들 간의 상호 작용을 위해 여러 종류의 N 인터페이스가 정의되어 있습니다. 주요 N 인터페이스와 그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N1: UE (User Equipment) - AMF 인터페이스

단말 (UE)과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간의 제어 평면 (Control Plane) 시그널링을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NAS (Non-Access Stratum)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세션 관리, 보안 등을 처리합니다.
N2: (R)AN - AMF 인터페이스

무선 접속망 (Radio Access Network, (R)AN)의 기지국 (gNB)과 AMF 간의 제어 평면 시그널링을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UE 컨텍스트 설정, 핸드오버 제어, 페이징 등을 지원합니다.

N3: (R)AN - UPF 인터페이스

(R)AN의 gNB와 User Plane Function (UPF) 간의 사용자 평면 (User Plane)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GTP-U (GPRS Tunneling Protocol - User Plane)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사용자 트래픽의 forwarding 및 QoS 적용 등을 담당합니다.

N4: SMF - UPF 인터페이스

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가 UPF의 사용자 평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패킷 포워딩 규칙 설정, QoS 파라미터 제어, 트래픽 측정 등을 수행합니다. PFCP (Packet Forwarding Control Protocol)를 사용합니다.

N5: PCF - AF (Application Function) 인터페이스

Policy Control Function (PCF)와 Application Function (AF) 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AF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요청하는 주체 (예: VoLTE, IMS)이며, PCF는 네트워크 정책을 관리합니다. N5를 통해 AF는 서비스 품질 (QoS) 요구사항 등을 PCF에 전달하고 정책 결정을 요청합니다.

N6: UPF - DN (Data Network) 인터페이스

UPF와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DN), 예를 들어 Internet, 기업 네트워크 등과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사용자 트래픽을 외부 네트워크로 라우팅합니다.

N7: SMF - PCF 인터페이스

SMF가 PCF로부터 사용자 세션 관련 정책 정보를 획득하고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QoS 정책, 과금 정책 등을 포함합니다.

N8: AMF - UDM (Unified Data Management) 인터페이스

AMF가 Unified Data Management (UDM)으로부터 사용자 가입 정보, 보안 정보 등을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N9: UPF - UPF 인터페이스

서로 다른 UPF 간의 사용자 평면 데이터 전달을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핸드오버 시 데이터 연속성을 보장하거나, 로컬 브레이크아웃 시 트래픽 라우팅에 사용됩니다.

N10: SMF - UDM 인터페이스

SMF가 UDM으로부터 사용자 세션 관련 가입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N11: AMF - SMF 인터페이스

AMF와 SMF 간의 세션 관리 관련 제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세션 설정, 수정, 해제 등을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합니다.

N12: AMF - AUSF (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인터페이스

AMF가 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AUSF)로부터 사용자 인증 벡터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N13: UDM - AUSF 인터페이스

UDM이 AUSF로부터 인증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N14: AMF - AMF 인터페이스

서로 다른 AMF 간의 이동성 관리 관련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inter-AMF 핸드오버 등을 지원합니다.

N15: PCF - AMF 인터페이스

PCF가 AMF에 이동성 관리 정책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N16: SMF - SMF 인터페이스

서로 다른 SMF 간의 세션 정보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inter-SMF 핸드오버 등을 지원합니다.

N17: SMSF (Short Message Service Function) 관련 인터페이스

Short Message Service Function (SMSF)는 5G 네트워크에서 SMS 기능을 제공하는 NF입니다. N17 인터페이스는 SMSF와 다른 NF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며, AMF와의 SMS 관련 제어 정보 교환 등이 주요 기능입니다.

N18: SBI (Service-Based Interface) 관련 인터페이스 (Generic)

N18은 특정 NF의 SBI (Service-Based Interface)를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즉, 특정 NF가 제공하는 서비스 API를 통해 다른 NF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를 포괄적으로 나타냅니다. 따라서 N18은 고정된 두 NF 간의 인터페이스라기보다는 SBA 하에서 서비스 제공 및 소비 방식을 의미합니다.

N19: LMF (Location Management Function) 관련 인터페이스

Location Management Function (LMF)는 UE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제공하는 NF입니다. N19 인터페이스는 LMF와 위치 정보를 필요로 하는 다른 NF (예: AMF, PCF)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됩니다. UE 위치 요청, 응답 및 관련 제어 정보를 교환합니다.

N20: NWDAF (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 관련 인터페이스

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 (NWDAF)는 네트워크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네트워크 성능 예측, 이상 감지, 최적화 등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NF입니다. N20 인터페이스는 NWDAF와 분석 결과를 필요로 하는 다른 NF (예: AMF, SMF, PCF)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됩니다. 분석 요청, 결과 제공 및 관련 설정 정보를 교환합니다.

NRF (Network Repository Function) 관련 인터페이스
Network Repository Function (NRF)는 다른 NF들이 자신을 discovery하고 등록된 NF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예: Nnrf-disc)를 제공합니다. 이는 N 인터페이스 체계의 핵심적인 부분입니다.


N 인터페이스의 적용 사례 및 중요성

네트워크 슬라이싱, MEC, QoS Control, Seamless Mobility 등 5G 네트워크의 핵심 기능 구현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N 인터페이스 관련 최신 트렌드 및 향후 전망 (유지)

API 진화, AI/ML 기반 관리, Open API 논의, 6G 기반 기술 등 지속적인 발전이 예상됩니다.

 

 결론적으로, 3GPP N 인터페이스는 5G 코어 네트워크의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들을 연결하고 통합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특히 N1 (UE - AMF), N2 (RAN - AMF), N3 (RAN - UPF), N4 (SMF - UPF), 그리고 N6 (UPF - DN)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트래픽의 흐름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핵심적인 경로를 나타내므로, 5G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동작 방식과 사용자 경험을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N7부터 N20까지의 인터페이스 역시 각 NF 간의 특정 통신을 규정하며 5G 서비스 제공의 기반을 이루지만, 초기 5G 네트워크 이해의 출발점은 사용자 트래픽 흐름과 밀접한 위의 주요 인터페이스들을 중심으로 파악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참고 링크 (참고자료, 공식 문서 등) (업데이트)

 

+ Recent posts